브이월드 3단계 서비스 시작 및 상세소개

 국토교통부에서는 2024년 1월 16일부터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 서비스는 맞춤형 지도 제작, 3D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등을 통해 공간정보를 보다 쉽게 활용할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브이월드 3단계 서비스 시작

국토교통부는 2023년부터 브이월드 고도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1단계(23년), 2단계(24년)를 거쳐 이번에 3단계 고도화 사업을 마치고 서비스를하게 되었습니다


1단계
  • 주요내용 : 공간정보 다운로드 기능 추가, 사용자인터페이스(UI.UX) 개편, 3D분석 기능 구축(9종), 공간정보 관련 기업정보 소개창구 추가
  • 활용도 : 공간정보 제공, 지형.건물 분석 등
  • 대상 : 공공, 민간, 개인


2단계
  • 주요내용 : 부동산 중개업.개발업 관련 서비스 추가, 벡터지도 탑재,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9종 → 16종), 모바일 활용기반 마련
  • 활용도 : 부동산 정보 연계 경관.기상 분석 등
  • 대상 : 공공, 민간, 개인

3단계
  • 주요내용 : 사용자 맞춤형 지도,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16종 → 22종) 및 API 적용, 3D파일 형식 확대 및 편집기능 추가
  • 활용도 : 맞춤형 지도제작, 3D관련 서비스 개발
  • 대상 : 공공, 민간, 개인


👇브이월드 바로가기👇



브이월드 주요내용

이번 3단계 고도화 사업은 단순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과 활용성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맞춤형 지도) 사용자가 자신만의 특색 있는 지도를 만들 수 있도록 나만의 지도 서비스를 신설했습니다

- 사용자는 맛집, 관광명소, 여행경로 등 원하는 정보를 브이월드 지도에 가시화하여 사용자 맞춤형 지도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3D분석.시뮬레이션) 일조권 분석, 드론 모의주행 등 실생활에 유용한 3D분석(5종).시뮬레이션(1종)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였습니다

* (3D분석) 건물의 높이와 위치가 일조권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적으로 검토(일조권 사선제한)하고 문화재 인근의 건축물을 신축, 개조할 때 문화재와의 조화로운 경관 유지를 사전 검토(문화재 현상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기능 5종(3D시뮬레이션) 드론.차량 모의주행 시뮬레이션 1종

-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 사용자는 관심있는 동네의 주거환경을 미리 파악해 볼 수 있고, 모의주행을 통해 드론 비행환경도 사전에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 아울러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을 오픈APT 형태로 제공하여 창업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인터넷 서비스나 앱(App)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해 놓은 인터페이스(예 : 구글지도 API, 날씨정보 API등)


✅ (3D파일 형식 지원 확대) 다양한 3D건물 파일형식을 지원하여 별도의 파일변환 없이 3D건물을 편집하고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기존) glb, gltf 2종 파일형식 지원, (신규) collada, obj, dae, 3ds 4종 파일형식 추가

- 3D건물을 확대, 축소, 회전할 수 있는 편집기능도 추가하여 3D분석.시뮬레이션을 도시설계, 건축기획 등의 기본설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브이월드(V-World) 개요

✅ 개요
국가 등이 보유한 공간정보 중 공개가능한 정보를 연계.제공하여 공공.민간의 공간정보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오픈플랫폼


✅ 추진경위
  • 3D공간정보 DB.활용 시스템 구축 예비타당성 조사(10년)
  • 3D지도(서초, 강남), 플랫폼 시범 구축(11년)
  • 3D지도(서울, 6대광역시) 구축 및 브이월드 서비스 개시(12년)
  • 3D구축지역 및 OpenAPI(데이터) 확대 제공(13~14년)
  • 오픈API 2.0 고도화 및 가상화 인프라.오픈소스 전환(17~18년)
  • 디지털 트윈국토 활성화를 위한 브이월드 3.0 추진계획 수립(23.6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1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3.8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2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4.7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5.1월)

✅ 탑재DB 및 서비스 기능
○ (탑재DB) 기반공간정보(6건)와 행정공간정보(896건) 등 총 902종의 다양한 국가공간정보를 웹 서비스로 제공

○ (서비스 기능) 2D.3D지도 조회, 분석 서비스, 다운로드, 오픈API 및 데스크톱 서비스, 기업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 활용 현황
○ (회원 가입자수) 누적 회우너수 약 19.9만명(12년 ~24년)

○ 인증키 발급건수) OpenAPI 인증키 발급 약 7만2천 건(12년~24년)



브이월드 단계별 고도화 성과

1단계

● 대민서비스 일원화
* 국가공간정보포털의 주요 기능을 브이월드에 통합(1차)
  • 공간중점데이터 오픈API서비스 이관 및 개발
  • 공간정보 다운로드,서비스 이관 및 개발
  • 데이터 조회기능, 회원정보 관리 기능 이관 및 개발

● 3D분석 기능 구축 
  • 지형(3종), 건물(3종), 경관(3종) 분석기능 구축

● 기업정보
  • 기업정보(사업, 상품, 채용관리 등) 서비스 신규 구축

● 디자인 개편
  • 홈페이지 디자인(UX.UI) 개편

2단계

● 대민서비스 일원화
*국가공간정보포털의 주요 기능을 브이월드에 통합(1차)
  • 부동산 중개업.개발업 서비스 이관
  • 고객센터(Q&A, FAX) 기능 통합
  • 통계, 개인정보, 운영자관리 등 관리기능 통합

● 3D분석 기능 확대
  • 건물(1종), 경관(1종), 기상(3종), 지역(2종) 분석기능 구축

● 벡터지도 탑재
  • 벡터타일 데이터(POI, 도로) 지도서비스 가시화 등
  • POI 관리 서비스(지도관리, 표출용.검색용 POI 등) 구축

● 디자인 추가 개편
  • 메뉴 통합에 따른 디자인(UI.UX) 일원화


3단계

● 맞춤형 지도서비스 구축
  • 사용자가 원하는 지도를 제작.관리 가능한 지도서비스 구축

● 3D분석 기능 확대
  • 지형(1종), 건물(2종), 경관(2종), 지역(1종) 분석기능 구축
  • 3D분석 기능에 대한 오픈API 신규 제공

● 3D 파일 형식 확대
  • 3D 건물 파일형식 6종(기존 2종 → 신규 4종) 확대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 상세 소개

1. 사용자 맞춤지도 서비스 도입
○ 브이월드에서 제공 중인 공간정보와 사용자의 데이터를 융복합 활용하여 맞춤형 지도를 제작 및 공유 할 수 있는 서비스 신설

- 사용자가 보유한 데이터를 지도에 가시화하고, 공간정보 유형별(점, 선, 면)마커, 색상, 폰트 등 스타일 생성.수정 기능 제공

- 사용자가 생성한 맞춤형 지도를 서비스로 발행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사용자 영역 다운로드, 사용자 맞춤형 지도 대시보드



2. 3D 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구축한 디지털 트윈 가상세계에 핵심 기능인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과 API를 확대 구축

- 고도화 1.2차 적용 성과에서 구축한 5개 분야(경관, 지형, 건물, 기상, 지역) 16종의 기능을 5개 분야 22종으로 확대

3D 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3D 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3D 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3D 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3. 3D 건물 파일형식 지원 및 편집기능 고도화
○ 분석.시뮬레이션 기능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건축 설계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및 편집기능 고도화

- 기존 2종의 파일 형식 지원이 6종으로 확대되었으며, 건물 모델 라이브러리와 사용자 등록 모델의 편집 기능이 강화

3D 건물 파일형식 지원 및 편집기능 고도화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브이월드 3단계 서비스 시작 및 상세소개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