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중생 한자, 뜻, 유래 – 불교에서 말하는 평범한 사람의 의미

 범부중생(凡夫衆生)은 불교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 깨달음을 얻지 못한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이번시간에는 범부중생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범부중생 한자, 뜻

범부중생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범부(凡夫)
  • 凡(범): 평범하다
  • 夫(부): 사람
→ 범부는 평범한 사람, 즉 일반인을 의미합니다


✅ 중생(衆生)
  • 衆(중): 무리
  • 生(생): 생명
→ 많은 생명을 뜻하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살아 있는 존재를 가리킵니다

결국 범부중생(凡夫衆生)은 깨달음을 얻지 못한 보통 사람들이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범부중생은 어떤 사람을 말할까?

불교에서 범부중생은 다음과 같은 상태에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 욕심, 분노, 어리석음 등 번뇌에 휘둘리는 상태

● 세상의 이치나 삶의 진리를 아직 깊이 깨닫지 못한 사람

● 수행 중이거나 아직 수행에 들어서지 않은 사람

하지만 단순히 부정적인 표현은 아닙니다 누구나 삶을 살아가며 겪는 고민과 부족함 속에서 더 나은 방향을 찾아가는 존재라는 뜻도 담겨 있습니다


유래와 배경, 불교의 핵심 개념과 연결되다

범부중생이라는 말은 불교의 깨달음 단계를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 불교 수행의 출발점
- 나는 아직 깨달음을 얻지 못했다는 자각에서 수행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범부중생은 부처가 되기 전 누구나 거치는 상태입니다

● 보살이나 부처와의 비교에서 사용
- 범부중생은 보살이나 부처와 달리 번뇌에 얽매여 있어, 아직 진리에 도달하지 못한 단계로 표현됩니다

현대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오늘날에도 범부중생이라는 표현은 다음처럼 쓰입니다

●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
"저는 아직 범부중생이라는 부족한 게 많습니다"
→ 스스로를 낮추며 배우는자세를 드러낼 때 자주 쓰입니다

● 타인을 이해할 때
누군가의 실수나 부족함을 보며, "우리 모두 범부중생이나 이해해워야지"라는 식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표현들

표현 의미
갑남을녀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남자와 여자
필부필부 이름 없는 일반 남녀
우부우부 어리석은 남자와 여자 (범부중생과 유사)
장삼이사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무개 사람들

※ 범부중생은 단지 불교 용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며 고민하고 실수하고 또 성장해가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말입니다








범부중생 한자, 뜻, 유래 – 불교에서 말하는 평범한 사람의 의미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