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현재, 재산세 납부 시즌이 돌아오면서 카드사별 혜택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재산세는 목돈이 들어가는 세금이기 때문에,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적립 혜택을 통해 부담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7월은 1기분 재산세 납부 기간(7.16 ~ 7.31)이기 때문에 각 카드사에서는 경쟁적으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재산세란?
재산세는 집이나 건물, 토지 등 부동산을 가진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매년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납부하며,
7월은 주택(1기분), 건축물, 선박, 항공기에 대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2025년에는 7월 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해야 하며,
이때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납부 혜택을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25년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 총정리
※ 모든 혜택은 각 카드사 홈페이지/앱에서 확인 및 신청 가능하며, 납부는 위택스(WETAX) 또는 서울시 ETAX에서 가능합니다
📌 국민카드
-
무이자 할부: 2~3개월
-
포인트 적립: 1만 원 이상 납부 시 1천 포인트
-
신청 방법: ARS (전화 신청 필요)
📌 신한카드
-
무이자 할부: 최대 6개월
-
포인트 적립: 20만 원 이상 납부 시 5천 포인트
-
신청 방법: 신한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사전 등록
📌 삼성카드
-
무이자 할부: 2~6개월
-
포인트 적립: 없음
-
신청 방법: 자동 적용 (별도 신청 불필요)
📌 현대카드
-
무이자 할부: 2~3개월
-
포인트 적립: M포인트 1% 적립
-
신청 방법: M포인트 적립 가능한 카드로 납부
📌 롯데카드
-
무이자 할부: 최대 12개월
-
포인트 적립: 건당 10만 원 이상 납부 시 L.POINT 적립
-
신청 방법: 이벤트 페이지에서 사전 신청 필수
📌 하나카드
-
무이자 할부: 2~3개월
-
포인트 적립: 1만 포인트 이상 사용 시 2천 포인트 추가 적립
-
신청 방법: 하나머니 앱에서 이벤트 참여 후 납부
재산세 카드납부 팁
1. 무이자 할부 최대한 활용하기
세금은 한 번에 큰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무이자 할부로 나눠 내는 것이 부담을 덜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60만 원의 재산세를 납부하면서 6개월 무이자 혜택을 이용하면 한 달에 10만 원씩 나눠 낼 수 있어 현금 흐름이 좋아집니다
2. 포인트 적립 또는 캐시백 노리기
카드사마다 포인트 또는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특히 고액 납부 시 혜택이 커지므로 자주 쓰는 카드의 이벤트 조건을 미리 확인하고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사전 신청 꼭 하기
많은 카드사들이 사전 이벤트 신청자에게만 혜택을 제공하므로 납부 전에 반드시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이벤트 페이지를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재산세 납부 가능한 채널
채널 | 주소 | 카드혜택 적용 | 비고 |
---|---|---|---|
위택스(WETAX) | wetax.go.kr | O | 전국 공통 사용 가능 |
서울시 ETAX | etax.seoul.go.kr | O | 서울 거주자 대상 |
카드사 앱 | 각 사 앱 | 일부 이벤트 지원 | 납부 전 이벤트 확인 필수 |
이런 점도 주의하세요!
요약하면...
● 2025년 7월 재산세 납부 기간은 7월 16일부터 31일까지입니다
● 무이자 할부, 포인트 적립, 캐시백 등 카드사별 혜택을 잘 활용하면 수만 원의 차이가 생깁니다
● 카드 납부 전 이벤트 확인 → 사전 신청 → 납부 순서로 진행하세요
놓치지 말고 똑똑하게 혜택 챙기세요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