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일은 한자어 翌日으로, 기준 날짜의 다음 날을 의미합니다 배송·근무표시·공문 등에서 자주 쓰이지만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 혼동이 생기곤 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익일 뜻 및 사용법 사전 정의, 실제 예시(배송·근무·계약서 등), 혼동을 줄이는 작성법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익일 뜻
익일(翌日)은 어느 날의 바로 다음 날을 뜻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동일한 정의를 제시하며, 주로 공문서·공지·약관에서 자주 쓰입니다익일과 비슷한 표현 비교
● 금일: 오늘
● 명일: 내일(오늘 기준의 다음 날)
● 익일: 특정 기준일의 다음 날을 의미
→ 따라서 기준일이 오늘이면 익일 = 내일, 기준일이 내일이면 익일 = 모레가 됩니다
익일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상황
익일 배송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현입니다
오늘 주문 → 익일 도착으로 안내되며, 대부분 다음 날 배송을 뜻합니다 단, 주문 마감 시간이나 지역 조건에 따라 실제 배송일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근무표시
예: 22:00 ~ 익일 07:00
이는 그날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근무한다는 의미입니다
공지·계약서
행사 마감 익일 오후 3시 발표
→ 행사 마감일의 다음 날 오후 3시에 결과를 발표한다는 뜻입니다
익일이 헷갈리는 이유
익일은 항상 내일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
예: 내일부터 접수, 익일 마감 → 여기서 익일은 모레를 의미합니다
즉, 어떤 날짜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무에서 혼동을 줄이는 방법
예: 마감일 9월 30일, 익일(10월 1일) 오후 3시 발표
예: 익일 배송(주문 다음 날 배송)
예: 23:00 ~ 익일 07:00 (같은 근무일 기준)
4. 중요 일정은 날짜 병기 필수
계약, 환불, 정산 관련 안내문에서는 반드시 정확한 날짜를 함께 적는 것이 안전합니다
실제 예문 모음
● 배송 안내: 오늘 18시 이전 주문 시 익일(내일) 도착 예정
● 근무표시: 근무시간 23:00 ~ 익일 08:00
● 공지사항: 접수 마감 6월 10일, 발표 익일(6월 11일) 오후 2시
● 계약서: 계약 효력은 발효일 익일부터 발생한다(날짜 병기 권장)
자주 묻는 질문(FAQ)
Q. 익일 = 내일인가요?
A. 무조건 내일은 아닙니다 기준일이 오늘이면 내일, 기준일이 내일이면 모레가 됩니다
Q. 쇼핑몰의 익일 배송 = 내일 도착인가요?
A. 대부분 그렇지만, 주문 시간과 지역 조건에 따라 실제 도착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계약서에서 익일만 쓰면 문제가 되나요?
A. 법적 문제는 없지만, 해석 차이로 분쟁이 생길 수 있으니 반드시 날짜를 병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젠더빌리 뜻과 젠더리빌 문화, 성별 공개 이벤트 완벽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