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다니면 월급을 받습니다 그런데 통장에 들어오는 돈이 생각보다 적어서 깜짝 놀란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4대 보험 때문입니다 이번시간에는 4대 보험이 뭔지, 왜 빠지는지,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아주 쉽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4대 보험이란?
4대 보험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들이 꼭 가입해야 하는 4가지 사회 보험을 말합니다 우리가 아프거나, 일을 못하게 되거나,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일을 안하게 되었을 때 국가가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 4대 보험의 종류는 4가지입니다
- 건강보험
- 국민연금
- 고용보험
- 산재보험
1. 건강보험 - 병원비를 덜어주는 든든한 친구
몸이 아플 때 병원에 가면 돈이 들어갑니다 이때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진료비나 약값의 일부를 나라에서 지원해줍니다
예를들어 진료비가 10만원 나왔다면 실제로는 3만원만 낼 수도 있습니다, 즉 건강보험이란 아플 때 걱정을 줄여주는 보험이라고 기역하면 됩니다
2. 국민연금 - 미래의 나를 위한 준비
국민연금은 지금은 젊고 일을 하고 있지만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일을 못하게 되었을 때 나라에서 매달 돈을 주는 제도입니다
즉 지금 내는 돈은 미래의 나에게 주는 선물 같은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3. 고용보험 - 갑자기 실질했을 때 받는 도움
고용보험은 회사 사정이 좋지않아서 갑자기 일을 못하게 되었을때 고용보험에 가입돼어 있으면 나라에서 구직급여(실업급여)를 주어서 다시 일자리를 찾는 동안 생활비 걱정을 될수 있습니다
4. 산재보험 - 일하다 다쳤을 때 나라가 책임줘요
산재보험은 일을 하다가 다쳤다면 치료비와 생활비를 걱정하게 됩니다 이럴 때는 산재보험이 치료비와 보상을 일부 또는 전부 지원해 줍니다
특히 산재보험은 회사만 돈을 내기 때문에 근로자는 부담이 없습니다
월급에서 얼마나 빠져나갈까?
4대 보험은 회사와 나 둘다 부담합니다 그래서 월급을 받을 때 자동으로 일정한 금액이 빠져나갑니다
- 일반적으로 전체 원급의 약 8~10% 정도 빠져나갑니다
- 예 : 월급 250만원 → 약 20~25만원 정도가 4대 보험으로 빠질 수 있습니다
4대 보험은 세금이야?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데 4대 보험은 세금이 아닙니다
항목 | 뜻 |
---|---|
세금 | 나라에 내는 돈, 돌려받지 못함 |
4대 보험 | 내가 필요할 때 도움받는 내 권리 |
세금은 내고 끝이지만
4대 보험은 필요할 때 나를 도와주는 보험입니다
한눈에 보는 4대보험 요약
보험 종류 | 어떤 상황에 필요해요? | 누가 돈을 내요? |
---|---|---|
건강보험 | 아플 때 병원비를 도와줘요 | 회사 + 나 |
국민연금 | 노후에 매달 연금으로 돌려받아요 | 회사 + 나 |
고용보험 | 실직 시 실업급여로 도움받아요 | 회사 + 나 |
산재보험 | 일하다 다쳤을 때 치료비를 지원해요 | 회사만 부담 |
4대보험 나를 지켜주는 기본 권리예요
처음에는 월급에서 돈이 빠져나가서 아깝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4대 보험은 아플때, 일을 못하고 있을때, 나이가 들었을때 꼭 필요한 안정망입니다, 미래의 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하시면 훨씬 이해가 쉬울겁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