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가왈부는 옳다 그르다 의견만 주고받고 결론 내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왈가왈부 한자, 뜻, 유래, 실생활 예문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왈가왈부 한자, 뜻
왈가왈부(曰可曰否)를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왈(曰): 말하다
- 가(可): 옳다
- 왈(曰): 말하다
- 부(否): 그렇지 않다
왈가 왈부 뜻을 해석해보면 이건 옳다, 이건 아니다, 즉 누가 맞고 누가 틀렸는지를 따지기만하고 실제로는 아무 결정이나 행동을 핮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유래
왈가왈부는 고사서에 직접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중국 주역이나 서비들의 토론에서 옳다, 그르다 하며 결론 없이 논의만 이어지는 상황을 가리키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비슷한 표현
● 왈가불가(曰可不可)
● 가타부타, 시시비야: ‘가타부타 말이 없다’ 같은 표현에 활용됩니다
실생활 예문
● 회의에서 왈가왈부만 하고 정작 결정은 못했어
● 정책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사람들 때문에 논의가 오래 걸렸다
● 그 문제는 이제 왈가왈부하지 말고 행동으로 해결하자
이처럼 말만하고 결론을 안내리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 뜻 - 옳다, 틀리다만 떠들며 결론 없이 의견만 주고받음
● 용법 - 주로 토론.회의.논쟁 등에서 부정적 뉘앙스로 사용
● 관련표현 - 왈가불가, 기타부타, 시시비야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만경창파 일엽편주 그 깊은 뜻과 전통의 품격을 담은 한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