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개 한자, 뜻, 유래

 기개는 흔들림 없는 의지와 당당한 태도를 뜻하는 말로, 강직한 사람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시간에는 기개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기개 한자

기개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氣(기): 기운 기
  • 槪(개): 대개 개, 강직할 개
기개(氣槪)는 말 그대로 기운이 뻗치며, 강직한 태도나 마음가짐을 말합니다, 단순히 기운만 넘치는 것이 아니라, 굽히지 않는 올곧은 성품과 원칙을 지키려는 마음까지 포함합니다


기개 뜻

기개는 일상에서도 자주 쓰이지만, 정확한 뜻을 알고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기개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꺾지 않고, 의연하게 맞서는 태도를 뜻합니다

● 예시
  • “그 사람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개를 잃지 않았어.”
  • “기개 있는 모습이 존경스러웠어.”


기개 유래

기개는 예로부터 충절과 올곧음을 중요하게 여긴 유교적 가치관과 관련이 깊습니다

옛 문헌에서 기개는 보통 선비의 올바른 자세충신의 절개를 말할 때 쓰였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기개를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삼았습니다

  • 곧은 마음과 굽히지 않는 태도는 백성에게 귀감이 되는 행실이었기 때문이죠.


기개와 비슷한 말

● 절개(節槪):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뜻을 지키는 것

● 의지(意志): 마음먹은 바를 끝까지 해내려는 마음

● 강단(剛斷): 결정을 내릴 때 흔들림 없는 태도


기개 어떻게 쓰면 좋을까?

기개는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나, 자신을 다잡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 “아이에게 기개를 가르치고 싶어요.”

  • “기개 있는 사람은 쉽게 무너지지 않아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