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요불굴 한자, 뜻, 유래까지 쉽게 정리

 불요불굴은 어떤 상황에서도 의지를 꺾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굳센 마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불요불굴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불요불굴 한자

불요불굴(不撓不屈)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不(아닐 불): 부정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 撓(휘어질 요): 마음이나 뜻이 꺾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 不(아닐 불)
  • 屈(굽힐 굴): 굽히거나 물러서는 것을 뜻합니다
불요불굴을 직역하면 휘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불요불굴 뜻

불요불굴이라는 말은 중국 고대 문헌에서 유래되었으며, 역경 속에서도 신념을 지킨 인물들의 태도를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독립운동가나 운동선수, 정치 지도자 등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들에게 자주 인용되며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이순신 장군이나 유관순 열사의 행동에서도 불요불굴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불요불굴 예문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으로 확인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는 불요불굴의 정신으로 수많은 시련을 이겨냈다

  • 불요불굴의 자세로 끝까지 도전해 마침내 꿈을 이뤘다

  • 아무리 힘든 상황이어도 포기하지 않고 불요불굴하게 버텼다



함께 알면 좋은 표현

불요불굴과 비슷한 뜻을 가진 사자성어들도 함께 알아두면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 백절불굴(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절대 굽히지 않음

  • 불굴불요(不屈不撓): 굽히지 않고 휘지 않음 (불요불굴과 글자 순서만 다름)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