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첨화 한자, 뜻, 유래

 금상첨화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이미 좋은 일이 있을 때 더 좋은 일이 생기는 상황을 말해요. 중국 북송의 시인 왕안석이 지은 시 즉사에 나오는 표현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금상첨화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금상첨화 한자, 뜻

금상첨화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 비단 금
  • : 위 상
  • : 더할 첨
  • : 꽃 화
금상첨화를 해석하면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입니다 이미 멋진 상태에서 더 멋진 것이 얹혀져서 훨씬 더 좋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상첨화  유래

금상첨화는 중구 북송 시대 시인 왕안석의 시 즉사(卽事)에 나온 구절에서 시작됐습니다 시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름다운 노랫소리가 들리는데, 마치 비단 위에 꽃을 얹는 것 같았다.”
“麗唱仍添錦上花”
즉, ‘노래가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에서 금상첨화라는 표현이 탄생했습니다



금상첨화 예문

● 오늘 시험에 합격했는데, 상장까지 받았다니 정말 금상첨화예요!

●  소풍 가는 날 날씨도 좋고 친구랑 재미있었어요 이런 게 금상첨화죠!

● 케이크를 준비했는데, 선물까지 받았다면 금상첨화 상황이에요



[함께 보면 좋은 정보]

📌표리부동 한자, 뜻, 유래

📌일타쌍피 한자, 뜻, 유래

📌일망타진 한자, 뜻, 유래

📌대기만성 한자, 뜻 유래

📌일거다득 한자, 뜻, 유래


금상첨화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