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다마 한자, 뜻, 유래

 호사다마(好事多魔)는 좋은 일엔 방해가 많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호사다마 한자, 뜻, 유래, 예문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호사다마 한자, 뜻

호사다마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好 : 좋을 호
  • 事 : 일 사
  • 多 : 많을 다
  • 魔 : 마귀 마
호사다마를 해석하면 좋은 일에는 마가 많다는 의미로 어떤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나 불운이 닥칠 수 있으니 방심하지 말고 조심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호사다마 유래

중국 고전문학의 표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희곡 《비파기(琵琶記)》에서는 마지막 글자가 魔(마귀 마)가 아니라 磨(닦을 마)로 쓰인 경우도 있습니다 좋은 일이 생기면 많이 닦아야 한다, 즉 수고와 시련을 거쳐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이 한국으로 전해지면서 好事多魔의 형태로 정착되었고, 좋은 일에 반드시 방해나 어려움이 따름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일상에서 쓰는 예문들

다음은 호사다마를 실제로 쓰는 예문입니다

  • "운동회에서 1등 했는데, 다리가 갑자기 아파서 호사다마였어."

  • "새롭게 친구가 생겼는데, 갑자기 숙제도 많아져서 호사다마 같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설상가상 한자, 뜻, 유래

📌작심삼일 한자, 뜻, 유래

📌유야무야 한자, 뜻,유래

📌유명무실 한자, 뜻, 유래

📌인내천 한자, 뜻, 유래


호사다마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