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시지탄(晩時之歎)은 때늦은 한탄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시기를 놓치고 나중에 탄식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번시간에는 만시지탄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만시지탄 한자, 뜻
만시지탄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晩 (늦을 만)
- 時 (때 시)
- 之 (갈 지)
- 歎 (탄식할 탄)
만시지탄을 해석하면 때늦은 한탄이라는 뜻으로 시기를 놓쳐 기회를 잃고 뒤늦게 후회하며 탄식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만시지탄 유래
만시지탄(晩時之歎) 은 고대 문헌에서 뚜렷하게 이 말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라는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습니다
많은 사전이나 백과에서는 이 성어의 뜻과 사용례는 기록돼 있지만, 기원이나 유래 고사(옛 이야기) 쪽은 주장이 분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도일보의 설명에서도 만시지탄은 때늦은 한탄이라는 뜻이고, 후시지탄(後時之歎)이라고도 한다는 뜻 위주로 다루고 있고, 유래 쪽은 깊게 들어가진 않고 있습니다
또한, 어떤 블로그나 한자 풀이 사이트들은 유래 가능성을 언급하되, 어느 하나 확실하진 않다는 태도를 유지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전해지는 여러 설을 소개하고, 어느 쪽이 더 타당할지 같이 생각해보는것입니다
전해지는 유래 설들
아래는 사람들이 제시한 몇몇 설들이입니다 어느 게 진짜인지는 장담 못 하지만, 이야기로 보면 꽤 흥미롭습니다
| 설 | 핵심 내용 | 강점 & 약점 |
|---|---|---|
|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 연관 설 | 어떤 블로그에선 “중국 전국(戰國) 시대 인상여와 염파 사이의 일화가 만시지탄의 유래가 아닐까”라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 이 설은 이야기로 들을 만하지만, 정작 고전 사료(역사서, 문집 등)에 이 사자성어가 기록된 맥락이나 해당 일화가 연결된 문헌 증거가 부족합니다 |
| 후한서 장형전(張衡 傳) 출전 설 | 유튜브 쪽 고사성어 晩時之歎 만시지탄 영상 설명에는 출전: 후한서 장형전이라는 설명도 보입니다 | 후한서 같은 정사(正史)에 이름이 붙여진다면 좀 더 무게감이 있지만, 내가 살펴본 사전이나 백과에는 이 출전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는 설명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
| 의미 위주의 전승 | 많은 사전이나 백과는, 유래 이야기보다는 말 뜻 → 쓰임새 → 비슷한 말과의 관계 쪽에 더 무게를 두고 전승해 왔습니다 예컨대 기회를 놓치고 나중에 탄식해도 소용없다는 의미 중심 설명이 일반적입니다 | 이 쪽 설명은 안정적이고 오류 위험이 적지만, 이야기로서의 매력은 덜합니다 |
왜 설들이 분산될까?
우리가 유래를 확실히 알기 어려운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기록의 소실옛 문헌은 많이 사라지거나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사용은 됐지만, 그 성어가 처음 나온 문헌이 남아 있지 않다면, 후대의 해석만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나중에 붙어진 의미 확장
어떤 말이 처음엔 단순하게 쓰이다가, 여러 문맥을 거치면서 의미가 확장되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유래 이야기가 붙기도 합니다
즉, 누군가가 인상여와 염파 이야기랑 비슷하네 하고 연결해 버린 것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3. 구전 중심 전승
옛날엔 말로 전하고 필사본이 몇 개 있었을 뿐이라, 말이 전해지면서 약간씩 바뀌고 해석이 달라질 여지가 컸습니다
비슷한 표현
| 사자성어 | 뜻 | 만시지탄과의 관계 |
|---|---|---|
| 사후약방문 (死後藥方文) | 죽은 뒤에야 약을 지어 쓴다 → 이미 늦었다는 뜻 | 만시지탄처럼 “늦어버린 후회”를 강조 |
| 망양보뢰 (亡羊補牢) | 양을 잃고 울타리를 고친다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 | 이미 손실이 발생한 뒤 대응한다는 뜻 → 만시지탄과 비슷한 맥락 |
| 후시지탄 (後時之歎) | 지나간 시기를 늦게 한탄함 | 만시지탄과 거의 같은 말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20%ED%95%9C%EC%9E%90,%20%EB%9C%BB,%20%EC%9C%A0%EB%9E%98%20-%20%EB%8A%A6%EC%9D%80%20%ED%9B%84%ED%9A%8C%EC%9D%98%20%EA%B5%90%ED%9B%88%20%EC%8D%B8%EB%84%A4%EC%9D%BC.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