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리다매(薄利多賣) 한자, 뜻, 유래

 박리다매(薄利多賣)는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판다는 의미의 대표적인 상업 전략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박리다매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박리다매 한자, 뜻

박리다매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薄): 엷을 박
  • (利): 이로울 리
  • (多): 마늘 다
  • (賣): 팔 매
박리다매를 해석하면 이익을 적게보고 많이 판다는 뜻으로 이익을 적게 붙이고 상품을 많이 팔아 전체 이익을 만드는 방식을 말합니다


박리다매 유래

박리다매라는 말은 특정 고전 문헌에서 한 문장으로 등장한 고사성어는 아닙니다
대신, 동아시아 상권에서 상인들이 실제 장사를 하며 자연스럽게 사용해오던 실용 한자어입니다

중국·일본·한국 모두 오래전부터 상업 활동이 발달하면서, 이익을 낮춰 판매량을 늘리는 전략이 기본 장사법으로 자리 잡았고, 그러면서 ‘薄利多賣’라는 표현이 널리 퍼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경제·경영학 분야에서 기본 가격 전략 중 하나로 계속 언급될 만큼 오래되고 보편적인 장사 원리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