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과천선(改過遷善) 한자, 뜻, 유래

 개과천선(改過遷善)은 과거의 잘못을 고쳐 선한 길로 나아간다는 뜻으로 널리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개과천선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개과천선 한자, 뜻

개과천선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改 (고칠 개): 고치다, 새롭게 하다
  • 過 (허물 과): 허물, 잘못, 지나치다
  • 遷 (옮길 천): 옮기다, 바뀌다, 변하다
  • 善 (착할 선): 착하다, 좋다, 선행
개과천선을 해석하면 잘못을고치고 착한일로 옮겨간다는 뜻으로 과거의 잘못된 행동이나 태도를 뉘우치고 올바르고 착하게 변화하는것을 말합니다



개과천선 유래

개과천선은 중국 고전『예기(禮記)』와『좌전(左傳)』등에 나타난 사상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유학(儒學)에서는 오래전부터 사람은 누구나 잘못할 수 있지만, 그 잘못을 바로잡는 것이 진정한 성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개과천선은 바로 그 핵심 가르침을 담고 있는 표현입니다


● 유래 배경 1 —『예기(禮記)』에서 강조한 인간의 성장

『예기』는 고대 중국의 예법과 생활 규범을 정리한 책인데, 여기에는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 중요한 건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스스로를 바로잡는 것이다

  • 잘못을 발견하면 즉시 고치고, 덕(德)을 쌓아야 한다

이 가르침에서 나온 말이 바로 개과(改過)입니다
그리고 악한 마음을 버리고 선한 마음으로 옮긴다라는 뜻의 천선(遷善)과 합쳐져 지금의 성어가 형성되었습니다

고대 유가 사상에서는 잘못을 인정하는 용기와 변화하려는 의지가 있는 사람이 진짜 강한 사람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이 개과천선 정신의 뿌리입니다


● 유래 배경 2 —『좌전(左傳)』의 실제 인물 이야기

『좌전』에는 개과천선의 정신을 잘 보여주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학자들이 개과천선을 설명할 때 자주 인용하는 사례라서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춘추시대, 제나라(齊) 환공의 신하인 관중(管仲) 이야기야

관중은 처음에는 잘못을 많이 저지른 인물이었습니다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 젊을 때는 생계를 위해 무리한 선택도 하고, 심지어 정치적 경쟁에서 상대를 공격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쓰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스스로의 행동에 문제가 많다는 걸 인정하고, “이대로는 나라에도, 나 자신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고 생각하여 완전히 다른 삶을 선택합니다

이후 관중은 스스로를 단련하며 학문을 익히고 성품을 바로잡았습니다
그리고 나중에는 제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든 명재상이 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잘못을 저질렀던 사람도 마음을 고치면 위대한 인물이 될 수 있다는 대표적 예시로 유명합니다

학자들은 이 관중의 변화를 두고 개과천선의 상징적 사례라고 설명합니다


비슷한 표현

● 개과자신(改過自新)
잘못을 고치고 새사람이 된다는 뜻. 의미가 매우 유사합니다

● 개사귀정(改邪歸正)
나쁜 행동을 버리고 바른 길로 돌아오는 의미
정확한 길로 돌아왔다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 명현지수(明賢之守) 등 도덕적 변화 표현
잘못을 고쳐 바르고 지혜로운 모습을 유지하는 의미로 함께 설명되기도 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