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감래 한자, 뜻, 유래

 고진감래는 우리 삶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자성어로, 힘든 시기 뒤에 반드시 좋은 일이 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고진감래의 정확한 한자와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고진감래 한자, 뜻

고진감래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苦 (고): 쓰다, 괴롭다, 고통스럽다
  • 盡 (진): 다하다, 끝나다
  • 甘 (감): 달다, 즐겁다, 행복하다
  • 來 (래): 오다, 찾아오다
고진감래를 직역하면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말입니다 즉 고생이 끝나면 즐거움이 찾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고진감래 유래

고진감래라는 말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정확한 고사는 남아있지 않지만, 유교 문화권에서 삶의 진리를 담은 표현으로 전해졌고, 조선 시대 문헌에서도 이 말이 자주 쓰였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왕이나 선비들이 백성을 위로하거나 자신을 다잡는 글귀로 이 표현을 즐겨 썼다고 합니다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야 할 때, 고진감래는 ‘희망’을 상징하는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고진감래를 일상에서 쓰는 예시

● “지금은 너무 힘들지만, 고진감래라고 하잖아. 분명 좋은 날이 올 거야.”

● “몇 년 동안 고생했지만 결국 성공했어. 진짜 고진감래야.”

● “고진감래를 믿고 포기하지 않았던 게 정말 잘한 선택이었어.”


함께 알아두면 좋은 표현

사자성어 의미
우공이산(愚公移山) 끈기 있게 노력하면 불가능도 가능해진다
인내천(人乃天) 사람은 곧 하늘처럼 존귀하다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내와 끈기를 강조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칠전팔기 한자, 뜻, 유래

📌 불요불굴 한자, 뜻, 유래

📌 기개 한자, 뜻, 유래

📌 충신지절 한자, 뜻, 유래

📌 일장지재 한자, 뜻, 유래


고진감래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