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부작침 한자, 뜻, 유래 – 끈기의 사자성어 풀어보기

 마부작침(磨斧作針)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중국 당나라 시인 이백이 배움에 지칠 때 냇가에서 도끼를 가는 할머니를 보고 깨달음을 얻은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마부작침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마부작침 한자, 뜻

마부작침은 한자로 다음과 같스빈다
  • 磨(마): 갈다
  • 斧(부): 도끼
  • 作(작): 만들다
  • 針(침): 바늘
마부작침을 직역하면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즉 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고 인내하면 결국 이룰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부작침 의미

마부작침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1. 작은 노력이라도 멈추지 않으면 결과를 이룰 수 있다
  2. 인내와 끈기가 중요하다
  3. 역경에 굴하지 않고 목표에 꾸준히 다가가는 태도를 강조한다

‘꾸준한 노력’, ‘끝까지 해내는 마음가짐’, ‘성공까지 포기하지 않는 인내심’ 등을 떠올리면 됩니다


마부작침 유래

● 배경
  •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 자 태백)은 뛰어난 문장가로 유명합니다

  • 젊은 시절, 공부에 흥미를 잃고 하산하던 중이었습니다


● 냇가에서 만난 할머니

  • 여정 중 냇가를 지나던 이백은 할머니가 돌에 도끼를 갈고 있는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 이백은 “무슨 일을 하십니까?”라 물었습니다

  • 할머니는 “바늘을 만들려고 도끼를 가는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 깨달음

  • 이백은 그 말을 듣고 비웃으며 “도끼로 바늘이라니 이유가 있으신가요?”라고 반문했고,

  • 할머니는 “중간에 그만두지만 않으면 바늘이 될 날이 온다”라고 담담히 말했습니다

  • 이백은 그 순간 “나도 스스로 포기했다”고 자각하고, 다시 공부에 몰두했습니다

  • 이후 평생 시문으로 이름을 날리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 이야기의 핵심은 ‘조금씩이라도 멈추지 않고 이어가면 반드시 성과가 온다’는 점입니다


유사표현

사자성어 마부작침과 차이점
우공이산(愚公移山) 바위를 옮기는 우공처럼 꾸준히 하면 불가능도 가능해진다 ‘산 옮기기’처럼 큰일에 초점, 마부작침은 작은 일의 꾸준함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 아주 작은 힘도 지속하면 큰 결과를 낼 수 있다 물이 바위에 스며드는 느낌, 마부작침은 직접 만드는 이미지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반복하면 모든 일에 성공할 수 있다 ‘시도 반복’ 강조, 마부작침은 노력의 과정과 인내 강조

마부작침은 ‘매일 조금씩’이 아니라 ‘계속하다 보면 큰 일도 직접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보다 재미있고 구체적인 상징성을 가집니다


오늘날 활용 사례

● 학업: “공부하기 싫다고 미루지 말고, 매일 한 페이지라도 풀어봐.”

● 운동: “체력이 부족해도 매일 10분만 해보면, 늘게 마련이다.”

● 취미·자기계발: “악기를 처음 배울 때는 엉성해도, 계속 연습하면 언젠가 감을 잡을 수 있다.”

● 직장생활: “작은 일이라도 성실하게 처리하다 보면, 큰 프로젝트를 맡을 기회가 온다.”

상황 적용 포인트
공부 하루 한 문제씩 꾸준히 풀기
운동 매일 일정량 스트레칭 또는 걷기
그림·글쓰기 매일 10분이라도 손을 대기
취미 레슨 레슨 전 짧게라도 예습·복습하기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배수진 한자, 뜻, 유래

📌 용두사미 한자, 뜻, 유래

📌 고진감래 한자, 뜻, 유래 

📌 칠전팔기 한자, 뜻, 유래

📌 불요불굴 한자, 뜻, 유래


마부작침 한자, 뜻, 유래 – 끈기의 사자성어 풀어보기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