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개지사는 굳은 절개를 지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로, 흔들림 없이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키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절개지사의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절개지사 한자, 뜻
- 節(절): 마디 절. 절제, 규율, 절개를 상징
- 槪(개): 대개 개. 여기선 '기개(氣槪)', '의지'를 의미
- 之(지): ~의 (조사 역할)
- 士(사): 선비 사. 학식과 도덕을 갖춘 사람
절개지사를 해석하면 절개와 기개를 지닌 선비, 즉 신념을 굳건히 지키는 인물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성어는 흔들리는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이나 충절을 끝까지 지키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예로부터 충신, 열사, 의로운 인물을 설명할 때 자주 쓰였고, 특히 역사 속에서는 왕조나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절개를 지킨 사람들을 높이는 말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절개지사 유래
절개지사는 특정한 고사 한 편에서 유래된 단일 고사성어라기보다는, 고대 중국이나 고려·조선 시대에 널리 쓰이던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자리 잡은 단어입니다
특히 조선시대 정몽주, 길재, 조헌 같은 인물들이 대표적인 절개지사의 표본으로 언급되곤 합니다
그들은 정치적 압력이나 죽음 앞에서도 자신의 도리를 굽히지 않았기에 후대에 절개지사로 존경받았습니다
절개지사와 관련된 표현들
관련 성어 | 의미 |
---|---|
충신지절(忠臣之節) | 충신이 갖춰야 할 절개 |
백절불굴(百折不屈) | 아무리 실패해도 굽히지 않음 |
기개(氣槪) | 꺾이지 않는 올곧은 정신 |
오늘날의 절개지사
현대 사회에서도 절개지사는 유효한 개념입니다
유혹이나 이익 앞에서도 원칙을 지키는 사람, 자기 신념을 끝까지 지켜내는 사람을 절개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치인, 언론인, 법조인 같은 공적인 역할을 맡은 사람에게 요구되는 태도이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 절개지사는 절개와 기개를 갖춘 선비를 뜻하는 말
● 자신의 원칙을 굽히지 않고 지켜내는 사람을 일컫는 고사성어
● 역사 속 충신들을 통해 그 의미가 강조되어 왔고, 오늘날에도 진실된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음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