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절불굴은 아무리 많은 실패와 고난을 겪어도 결코 굴복하지 않는 강한 마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어려움을 견디고 다시 일어서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이 표현의 깊은 뜻을 꼭 알아두세요 이번시간에는 백절불굴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백절불굴 한자, 뜻
백절불굴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百 (백): 일백 백
- 折 (절): 꺾을 절
- 不 (불): 아닐 불
- 屈 (굴): 굽힐 굴
백절불굴을 직역하면 백 번 꺾여도 굽히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절(折)은 실패나 좌절, 어려움을 상징하며, 굴(屈)은 포기하거나 물러나는 모습을 뜻합니다
즉, 얼마나 많은 시련이 와도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은 표현입니다
백절불굴 유래
백절불굴이라는 표현은 고대 중국의 문헌이나 병법서, 영웅담 등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삼국지의 장비나 관우, 초한지의 한신 등 역경을 이겨낸 인물들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었고, 한국 역사에서는 유관순, 안중근 같은 인물에게도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고전 문장에서 백번 꺾여도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은 시대를 초월한 정신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일상 속 백절불굴 이렇게 사용됩니다
● 그는 수십 번 실패했지만, 백절불굴의 정신으로 끝내 성공했어
● 백절불굴의 의지가 있었기에 이겨낼 수 있었던 거야
● 작은 실패에 좌절하지 말고, 백절불굴처럼 버텨보자
함께 보면 좋은 표현
● 불요불굴(不撓不屈): 휘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
● 칠전팔기(七顚八起):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난다
● 용두사미(龍頭蛇尾): 시작은 좋지만 끝이 흐지부지함
● 배수진(背水陣): 물러설 수 없는 각오로 싸운다
요약하면
구분 | 내용 |
---|---|
의미 | 백 번 꺾여도 굽히지 않는 강한 의지 |
사용 상황 | 실패 후 재도전, 굴하지 않는 태도 |
유래 | 중국 고전 및 한국 독립운동사 속 인물 정신에서 유래 |
유사 표현 | 불요불굴, 칠전팔기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