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외별전(敎外別傳)은 책이나 말로 가르치는 게 아니라, 행동이나 마음을 통해 따로 전해지는 깊은 가르침을 말합니다 불교 선종에서 나온 말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 개념, 이번시간에는 교외별전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교외별전(敎外別傳) 한자, 뜻
교외별전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敎(가르칠 교)
- 外(바깥 외)
- 別(다를 별)
- 傳(전할 전)
교외별전을 해석하면 책이나 말로 가르치는 게 아니라, 행동이나 마음을 통해 따로 전해지는 깊은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교외별전 유래
교외별전은 불교 선종(禪宗)에서 나온 핵심 개념입니다
보통 불교는 경전이나 설법을 통해 가르침을 전하는데, 선종은 말이나 글로만은 진짜 깨달음을 전할 수 없다고 봤습니다
이때 등장한 말이 바로 교외별전입니다, 말과 글 같은 일반적인 가르침이 아닌, 그 바깥에서 따로 전해지는 특별한 깨달음을 강조한 겁니다
이 개념은 보통 다음과 같이 함께 쓰이기도 해
불립문자(不立文字)ㆍ교외별전(敎外別傳)ㆍ이심전심(以心傳心)
→ 글에 의존하지 않고, 가르침 밖에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진다는 의미입니다
교외별전 쉽게 예를들면
● 스승이 긴 설명 없이 눈빛 하나로 제자에게 의도를 전할 때
● 부모가 말없이 행동으로 자녀에게 삶의 태도를 보여줄 때
● 리더가 지시 없이도 솔선수범하는 모습으로 메시지를 전할 때
이처럼 교외별전은 말보다 더 깊이 전해지는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교외별전과 함꼐 알아두면 좋은 표현
표현 | 의미 |
---|---|
불립문자(不立文字) | 글이나 말 없이 진리를 전함 |
이심전심(以心傳心) | 마음으로 마음을 전함 |
염화미소(拈華微笑) | 연꽃을 들어 올리자 제자가 말없이 웃으며 깨달음을 얻은 이야기 |
지금 시대에도 통하는 교외별전
1. 말보다 행동이 먼저인 리더십
말로 이끌기보다, 먼저 실천하는 리더가 더 신뢰받는 이유2. 경험에서 나오는 진짜 깨달음
수십 권의 책보다, 한 번의 실천이 더 큰 교훈을 주는 순간
수십 권의 책보다, 한 번의 실천이 더 큰 교훈을 주는 순간
3. 깊은 교감이 있는 관계
말하지 않아도 서로가 알아채는 순간, 바로 그게 교외별전이야
말하지 않아도 서로가 알아채는 순간, 바로 그게 교외별전이야
※ 교외별전은 단순히 말 없이 전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삶을 통해 직접 전해지는 특별한 깨달음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