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사미 한자, 뜻, 유래|처음은 거창했지만 끝은 흐지부지한 이유

 용두사미는 시작은 거창하지만 끝이 시원치 않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용두사미의 한자, 의미, 유래와 함께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상황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용두사미 한자, 뜻

용두사미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용(龍): 용
  • 두(頭): 머리
  • 사(蛇): 뱀
  • 미(尾): 꼬리
용두사미를 직역하면 용의 머리, 뱀의 꼬리입니다 즉 처음에는 용처럼 크고 화려하게 시작했지만 끝은 뱀처럼 초라하고 약해진다는 뜻입니다

무언가가 시작은 그럴듯했지만 마지막은 흐지부지되었을 때 자주쓰는 말입니다


용두사미 유래

용두사미는 중국 고전 속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옛날에 한 화가가 벽에 용을 그렸는데, 머리는 멋지고 정교하게 그렸지만 꼬리는 일부러 간단히 그렸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왜 꼬리를 제대로 안 그렸냐고 묻자, 화가는 “너무 완벽하게 그리면 용이 진짜 하늘로 날아갈까 봐”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일화가 전해지면서 ‘용두사미’는 시작은 거창하지만 끝은 흐지부지하게 마무리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용두사미 어떤 상황에서 쓰일까?

생활 속에서는 이런 경우에 자주 사용됩니다
  • 공부 계획을 세우고 첫날만 열심히 하고 끝낸 경우
  • 회의 시작은 열정적인데 마무리가 흐지부지할 때
  • 드라마나 영화 초반은 흥미로운데 마지막이 실망스러울 때
  • 새로운 습관을 시작했지만 며칠 만에 포기한 경우

예문
“처음엔 기대했는데 역시 용두사미였어.”
“또 용두사미로 끝나는 거 아니야?”


비슷한 뜻의 사자성어

사자성어 의미
유명무실(有名無實)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제는 없음
유야무야(有耶無耶) 일이 명확하지 않고 흐지부지 끝남
작심삼일(作心三日) 마음먹은 결심이 오래가지 않음







용두사미 한자, 뜻, 유래|처음은 거창했지만 끝은 흐지부지한 이유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