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螢雪之功)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학업에 매진한 사람들의 집념을 상징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형설지공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형설지공 한자, 뜻
형설지공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螢(형) : 반딧불이
- 雪(설) : 눈
- 之(지) : ~의
- 功(공) : 공로, 노력
형설지공을 해석하면 반딧불과 눈빛 아래에서 이뤄낸 공부의 노력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에서도 공부에 힘쓴 노력과 성취를 나타냅니다
형설지공 유래
형설지공은 중국 진(晉)나라 시대, 두 명의 인물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 차윤(車胤)은 집이 너무 가난해 등불을 켤 기름도 없자, 여름밤마다 반딧불이 수십 마리를 모아 불빛 삼아 책을 읽었습니다
- 손강(孫康)은 겨울에 불이 없어서 하얗게 쌓인 눈에 비친 달빛을 이용해 책을 읽었다고 전해집니다
이처럼 극한의 환경에서도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두 사람의 이야기가 합쳐져 형설지공이라는 성어가 만들어졌습니다
형설지공이 사용되는 상황
●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며 어려움을 극복할 때
● 학업 성취에 있어 과정의 노력을 강조하고 싶을 때
● 자녀나 제자에게 끈기와 인내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형설지공과 함께 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
사자성어 | 의미 |
---|---|
절차탁마(切磋琢磨) | 끊임없이 노력하여 실력을 닦는 것 |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엔 일하고 밤엔 공부함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꾸준함 |
형설지공 요약정리
● 한자 의미 : 반딧불과 눈으로 공부한 노력
● 핵심 뜻 : 힘든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공부한 공로
● 유래 인물 : 차윤, 손강
● 활용 예시 : 공부 자극, 자기계발, 인내 강조할 때
형설지공은 단순히 열심히 하자는 말 뜻만 있는것이 아니라, 조건이 아닌 태도, 환경이 아닌 의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한자 표현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