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탁마 한자, 뜻, 유래

 절차탁마는 자르고 갈고 쪼고 닦는다는 한자 표현으로, 꾸준한 노력과 자기 계발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절차탁마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절차탁마 한자, 뜻

절차탁마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절(切): 자르다
  • 차(磋): 갈다
  • 탁(琢): 쪼다
  • 마(磨): 닦다
절차탁마(切磋琢磨)를 해석하면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꾸준히 배우고 실력을 다듬는다는 의미로 위 네가지 행동은 모두 돌이나 옥 같은 보석을 다듬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이를 사람의 학문이나 인격을 다듬는데 비유한 말입니다 즉, 자신을 갈고 닦으며 발전해 나간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절차탁마 유래

절차탁마는 고대 중국의 책인 『예기(禮記)』에 나오는 말입니다
특히 학기(學記)라는 부분에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수련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이 표현이 등장합니다

“옥은 자르고, 갈고, 쪼고, 닦아야만 보석이 된다.”

이처럼 사람도 그냥 태어난 그대로 훌륭해지는 것이 아니라, 끝없는 노력과 연습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절차탁마 예문

절차탁마 사자성어는 주로 노력, 인내, 성장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아래 예문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는 절차탁마의 자세로 매일 연습을 거듭했다

  • 절차탁마하지 않으면 실력이 늘 수 없다

  •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절차탁마 없이 성공하긴 어렵다



절차탁마와 비슷한 사자성어

●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지극한 인내를 나타냅니다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했다는 의미로, 고생하며 공부한 노력을 말합니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우직하게 산을 옮기려는 노력처럼, 끈기 있게 임하면 불가능도 가능하다는 뜻 입니다


※ 절차탁마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쌓아온 노력의 결과를 상징하는 말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유유상종 한자, 뜻, 유래

📌 천고마비 한자, 뜻, 유래

📌 읍참마속 한자, 뜻, 유래

📌 동문서답 한자, 뜻, 유래

📌 새옹지마 한자, 뜻, 유래


절차탁마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