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란지계 한자, 뜻, 유래 - 단단한 우정 이야기

 금란지계는 함께하면 쇠도 자를 만큼 단단하고, 난초 향기처럼 아름다운 우정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금란지계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금란지계 한자, 뜻

금란지계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金 (쇠 금)
  • 蘭 (난초 란)
  • 之 (갈 지)
  • 契 (맺을 계)
금란지계를 해석하면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잘 맞는 ㅊ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우정을 비유한 뜻입니다



금란지계 유래

금란지계(金蘭之契)라는 고사성어는 중국 고대의 경전인 《주역(周易)》에 들어 있는 계사전(繫辭傳)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孔子)는 제자들에게 세상의 이치와 인간관계를 자주 설명해 주셨는데, 그중에 사람 사이의 믿음과 우정에 대해 특별히 강조했습니다 그 말씀이 바로 이렇게 전해집니다.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도 자를 수 있고, 마음을 같이한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

 

여기서 두 가지 중요한 비유가 나옵니다

1. 쇠(金)를 끊는다
  • 쇠는 아주 단단하고 쉽게 끊어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두 사람이 마음을 합하면 그 힘이 쇠조차 끊을 만큼 강하다는 뜻입니다
  • 즉, 친구나 동료가 서로 진심으로 협력한다면 불가능한 일도 이겨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 난초(蘭)의 향기

  • 난초는 고대 중국에서 가장 귀하고 향기로운 식물로 여겨졌습니다

  • 공자는 난초의 향기를 고결한 인품과 고운 우정에 비유했습니다

  • 그래서 서로 마음을 나누며 대화하는 친구의 말은 난초향처럼 은은하고 오래도록 남는다고 한 것입니다


즉, 공자는 우정의 힘을 이렇게 설명한 것입니다

  • 함께할 때는 큰일도 해낼 수 있을 만큼 강하고,

  • 서로 주고받는 말은 향기처럼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이 말은 이후 중국과 한국에서 금란지계라는 사자성어로 정리되어, 아주 깊고 변치 않는 우정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말이 되었습니다



실생활에서 예시

● 학교에서 어려운 문제를 함께 공부하는 순간
둘이 힘을 합쳐 문제를 풀면, 금란지계처럼 마음이 단단해지고 즐거움도 배가됩니다

● 슬프거나 고민이 있을 때 친구가 곁에 있어 주는 순간
친구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난초처럼 마음을 은은하게 감싸줍니다

● 서로 다른 취미를 가졌지만, 응원해 주는 순간
"너가 잘해주면 나도 응원할게!" 하는 마음이 금란지계의 정신입니다

이처럼 금란지계는 우리가 매일 느끼는 작은 순간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멋진 우정의 방식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관포지교 한자, 뜻, 유래

📌백아절현 한자, 뜻, 유래

📌적자지심 한자, 뜻, 유래

📌간담상조 한자, 뜻, 유래

📌삼인성호 한자, 뜻, 유래



금란지계 한자, 뜻, 유래 - 단단한 우정 이야기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