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중무인(目中無人)은 눈속에 사람이 없다는 한자에서 출발한 고사성어로, 남을 인정하지 않고 교만한 태도를 비판하는 말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목중무인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목중무인 한자, 뜻
- 目 (목): 눈 목
- 中 (중): 가운데 중 (또는 속 중)
- 無 (무): 없을 무
- 人 (인): 사람 인
목중무인 유래
배경이 되는 문학작품과 작가
먼저, 이 표현이 어디에서 나왔는지를 이해하려면 작가와 작품을 아는 것이 도움이 도움이 됩니다
-
작가: 능몽초(凌濛初) — 명나라 말기(약 1580년 생 ~ 1644년 사망) 절강성(浙江省) 출신의 문학가입니다작품: 『초각박안경기(初刻拍案驚奇)』 — 능몽초가 1627년경(명나라 천계(天啓) 연간) 완성한 단편백화(白話)소설집입니다
-
작품의 특징: 여러 개의 짧은 이야기로 구성된 옛날이야기집이며,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흥미롭거나 도덕적 교훈이 있는 이야기들을 담고 있습니다
즉, 목중무인이라는 말은 이 작품 안에 등장하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유래
이제 본격적으로 유래가 된 이야기의 흐름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원 텍스트의 상세 문장은 많이 남아있진 않지만, 여러 참고자료들이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흐름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 어느 가정에 늦게 아이가 태어났어요. 아이를 너무 귀하게 여긴 부모가 있었습니다
- 부모는 그 아이를 과하게 사랑하며 자랄 때부터 버릇없이 성장하도록 놔두었습니다
- 아이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사람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게 됩니다 주변 사람의 말은 듣지 않고, 마치 다른 사람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 결국 부모는 이런 아이의 태도를 보고 눈 속에 사람이 없다(目中無人)라며 탄식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 표현의 출처로 전해집니다
- 시간이 흐르면서 원형 표현 목중무인(目中無人)은 안하무인(眼下無人)이나 안중무인(眼中無人)처럼 변형되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핵심은 다른 사람을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낮춰보거나 무시하는 태도가 문제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 태도를 비유적으로 눈 속에 사람이 없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왜 눈 속에 사람이 없다로 표현했을까?
여기서 눈 속에 사람이 없다라는 표현이 왜 나왔는지, 왜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처럼 바뀌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래 표현
-
目(눈 목) 中(가운데/속) 無(없을) 人(사람) → 目中無人
-
눈 속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자신의 눈 앞에 있는 사람조차도 사람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즉 자신만 보고 주변은 보지 않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말합니다
-
이 표현이 바로 능몽초의 작품 안에서 등장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표현의 변화
-
시간이 흐르면서 언어 습관이나 구어체 변화로 인해 眼下無人(안하무인), 眼中無人(안중무인) 등의 형태로 바뀌게 됩니다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처럼 표현이 바뀐 이유는 속(in)보다는 아래(below)라는 단어가 더 직관적이고 말하기 쉬웠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
하지만 문헌상으로는 목중무인이 원형이라는 주장이 많습니다
즉, 우리가 흔히 쓰는 안하무인 등의 변형이 있지만, 목중무인이라는 표현이 유래상 더 정확한 형태라는 것이 학자들 사이의 공통된 인식입니다
이 유래가 주는 교훈
이 유래 이야기는 단순히 옛날이야기일 뿐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도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
과잉보호가 오히려 해가 된다: 아이를 너무 귀하게 키워버리면 자립심이나 배려심이 자라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타인을 인정하는 태도의 중요성: 주변 사람을 ‘보이지 않는 존재’처럼 대하면 결국 관계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
겸손함과 배려가 리더십의 핵심: 개인이 혹은 조직에서 내가 최고라는 마음만 갖는다면, 팀원이나 주변이 소외감을 느끼고 협력이 어려워집니다
-
언어가 바뀌어도 본질은 같다: 목중무인, 안하무인, 안중무인 등 표현이 바뀌었지만 그 본래 뜻 — 다른 사람을 사람 취급하지 않는 교만한 태도 — 은 변하지 않아요.
이 유래를 머릿속에 두고 보면, 나 자신이나 주변을 돌아볼 때 혹시 내가 다른 사람을 눈에 보이지 않게 대하고 있지는 않은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비슷한 표현
[함께 보면 좋은 정보]
%20%ED%95%9C%EC%9E%90,%20%EB%9C%BB,%20%EC%9C%A0%EB%9E%98%20-%20%EA%B5%90%EB%A7%8C%EC%9D%84%20%EA%B2%BD%EA%B3%84%ED%95%98%EB%8A%94%20%EA%B3%A0%EC%82%AC%EC%84%B1%EC%96%B4%20%EC%8D%B8%EB%84%A4%EC%9D%BC.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