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옹지마는 인생의 기쁨과 슬픔이 언제든 뒤바뀔 수 있다는 삶의 지혜를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새옹지마의 한자 구성부터 유래와 교훈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새옹지마 한자
- 塞(새): 변방, 성곽
- 翁(옹): 늙은이
- 之(지): ~의
- 馬(마): 말
새옹지마 뜻
즉,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섣불리 단정하지 말고, 한 걸음 떨어져서 바라보자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일이 지금 당장은 속상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그때 그 일이 있어서 다행이었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새옹지마 유래
이 말은 중국 고전인 『회남자(淮南子)』에서 유래했습니다
옛날 중국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가 기르던 말 한 마리가 도망가 버렸습니다
사람들이 안타까워하자 노인은 담담하게 말했습니다
“이 일이 복이 될 수도 있지요.”
며칠 후, 그 말이 더 좋은 야생말 한 마리를 데리고 돌아옵니다
동네 사람들은 축하 인사를 했지만, 노인은 또 말합니다
“이번엔 이 일이 화가 될 수도 있겠지요.”
얼마 지나지 않아, 아들이 그 야생마를 타다가 크게 다칩니다
사람들이 걱정하자 노인은 또 말합니다
“이 또한 복이 될 수 있어요.”
그리고 전쟁이 일어나 많은 젊은이들이 끌려갔지만, 아들은 다친 덕분에 전쟁터에 나가지 않아 목숨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새옹지마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 기뻐할 일에도 들뜨지 말고, 슬퍼할 일에도 너무 낙심하지 말자
● 모든 일에는 반전이 있을 수 있다
● 인생은 길게 보고 판단하자
이처럼 새옹지마는 변덕스러운 인생을 슬기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
● 전화위복: 재앙이 오히려 좋은 기회로 바뀐다
● 인생무상: 인생은 늘 변하고 한순간도 같지 않다
● 인생무상: 인생은 늘 변하고 한순간도 같지 않다
이 사자성어들도 새옹지마와 비슷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함께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 새옹지마는 단순한 옛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가 살면서 겪는 수많은 일들에 대해 조급하게 판단하지 말자는 인생의 지침서 같은 말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