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계일학(群鷄一鶴)은 많은 닭 무리 속에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유독 뛰어나게 돋보이는 인물이나 사물을 비유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시간에는 군계일학 한자,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군계일학 한자 뜻
구분 | 내용 |
---|---|
한자 | 群鷄一鶴 |
발음 | 군계일학 |
직역 | 무리 군(群) + 닭 계(鷄) + 한 일(一) + 학 학(鶴) |
뜻 | 많은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유독 뛰어난 한 사람 또는 물건 |
군계일학은 수많은 닭들 가운데 우아하고 뛰어난 학 한마리라는 이미지에서 나온 말입니다, 주변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실력이나 품격에서 압도적으로 뛰어난 사람을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군계일학 유래 이야기
군계일학의 유래는 중국 고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중국의 전한(前漢) 시대, 명재상으로 알려진 소하(蕭何)는 유능한 인재 한신(韓信)을 발탁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당시 소하는 "한신은 군계일학이다"라고 표현했습니다
그 당시 많은 장수들 속에서도 한신은 뛰어난 군사 전략과 지략으로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이 사례 이후 "군계일학"은 '특출난 존재'를 의미하는 말로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군계일학 활용 예시
● 일상예문
👉 "이번 대회에서 그의 실력은 군계일학이었다."
👉 "지원자들 중에서 그녀의 이력서는 군계일학처럼 돋보였다."
👉 "지원자들 중에서 그녀의 이력서는 군계일학처럼 돋보였다."
● 비즈니스 상황
👉 "우리 회사 디자인팀에서 그는 군계일학 같은 존재야."
● 학교나 시험 관련
👉 "반 평균은 낮았지만, 그 학생 성적은 군계일학이었다."
비슷한 뜻의 사자성어
사자성어 | 뜻 |
---|---|
백미(白眉) | 여러 사람 중 가장 뛰어난 존재 |
국사무쌍(國士無雙) | 나라 안에 둘도 없는 인재 |
독야청청(獨也靑靑) | 여럿 중 홀로 빛나는 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