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편단심(一片丹心)은 한 조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변치 않는 진심과 충성심을 의미합니다 고려 정몽주와 중국 악비 이야기 등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일편단심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일편단심 한자, 뜻
일편단심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一 (한 일): 하나, 한
- 片 (조각 편): 조각, 한 조각
- 丹 (붉을 단): 붉다, 붉은
- 心 (마음 심): 마음
일편단심을 해석하면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주로 특정 인물, 단체, 또는 사물에 대한 굳건하고 한결같은 충성심이나 애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일편단심 유래
🏛️ 고려 정몽주와 시조
우리나라 고려 말의 문장가 정몽주 선생님의 시조에 등장한 구절에서 유래했다합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이처럼 한 사람 또는 나라를 향한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 중국 악비(岳飛)의 충절 이야기
또 중국의 유명한 충신인 악비(岳飛)의 이야기에서도 나옵니다 그는 나라와 왕에 대한 변하지 않는 충성심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를 일편단심으로 비유하게 된 것입니다
실제 의미와 활용 예시
상황 | 사용할 수 있는 표현 |
---|---|
친구에게 변함없는 우정을 표현 | “너에게는 일편단심으로 마음을 줄게.” |
가족을 위해 언제나 헌신할 때 | “엄마를 향한 저의 일편단심은 영원할 거예요.” |
꿈을 향해 꾸준히 노력할 때 | “음악을 향한 나의 일편단심으로 하루하루 열심히 연습해요.” |
비슷한 표현
● 간담상조(肝膽相照): 속마음을 솔직하게 나누는 친구 사이
● 적자지심(赤子之心): 거짓 없는 순수한 마음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