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형난제 한자, 뜻, 유래

 난형난제는 두 대상이 너무 비슷해 형이라 하기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 어려운 상태를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난형난제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난형난제 한자, 뜻

난형난제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難 (난): 어려울 난
  • 兄 (형): 형 형
  • 難 (난): 어려울 난
  • 弟 (제): 아우 제
난형난제를 직역하면 형이라고 하기 어렵고, 아우라고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나 사람의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비슷할 때 사용되는 고사성어입니다 


난형난제 유래

 중국 후한 말기에 살았던 문관 진식(陳寔)과 그의 아들, 손자들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 진식과 두 아들 진기(陳紀), 진심(陳諶)은 모두 덕망과 학문이 뛰어나 ‘삼군자’로 불렸습니다

  • 어느 날 진식의 손자들이 “우리 아버지 중 누가 더 뛰어난가?”라고 할아버지에게 물었고, 진식은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동생이라 하기도 어렵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이 에피소드가 고사성어 난형난제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난형난제 활용 사례

상황 예문
학업·입시 비교 “두 대학의 입시 경쟁률이 난형난제라서 결정하기 어렵다.”
스포츠 비교 “한국과 일본 축구 전력이 난형난제다.”
제품 비교 “두 스마트워치 성능이 난형난제라서 선택이 쉽지 않다.”
인기 비교 “두 인기 배우의 연기력이 난형난제라서 누가 더 뛰어난지 알 수 없다.”

즉, 두 대상이 비슷하거나 경쟁이 치열한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어와 비교

표현 의미
막상막하(莫上莫下) 서로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때
백중지세(伯仲之勢) 두 대상이 거의 동등한 상태
호각지세(互角之勢) 대등한 세력 관계
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 ‘난형난제’와 같은 뉘앙스

이 표현들은 모두 비슷해서 판단이 어렵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 의미: 두 대상이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다

● 한자 구성: 難兄難弟 → 어려울 난 – 형 형 – 어려울 난 – 동생 제

● 유래: 삼국시대 진식과 손자들의 일화에서 유래

● 사용 예: 학업, 스포츠, 제품, 캐릭터 등 비교가 힘든 모든 상황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일거양익 한자, 뜻, 유래

📌 일거양득 한자, 뜻, 유래

📌 오월동주 한자, 뜻, 유래

📌 절치부심 한자, 뜻, 유래

📌 마부작침 한자, 뜻, 유래


난형난제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