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요불굴(不撓不屈) 한자, 뜻, 유래 - 흔들리지 않고 굽히지 않는 마음

  불요불굴(不撓不屈)은 휘지도 않고 굽히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에도 꺾이지 않는 단단한 의지를 표현합니다 이번시간에는 불요불굴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불요불굴 한자, 뜻

불요불굴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不(아닐 불): 아니다
  • 屈(굽힐 굴): 굽히다
  • 不(아닐 불): 아니다
  • 撓(어지러울 뇨/요): 꺾이다, 흔들리다
불요불굴을 해석하면 굽히지 않고 꺾이지 않는 다는 뜻으로 어떤 어려움이나 난관에도 굴하지 않고 끈기 있고 굳건하게 자신의 뜻을 밀고 나가는 강인한 의지나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불요불굴 유래

불요불굴이라는 말은 중국 후한 시대의 역사서인 『한서(漢書)』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에는 왕상(王商)이라는 관리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느 날, 수도 근처에 반란이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관리들이 황제에게 지금 당장 피난을 가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들 두려움에 빠져 당황했지만, 왕상은 달랐습니다

그는 소문일 뿐, 실제로 반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괜히 백성을 더 불안하게 만들지 말고, 지금은 차분히 상황을 지켜보는 게 옳습니다라고 황제에게 말했습니다

주위의 압박과 걱정에도 흔들리지 않고, 그는 끝까지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정말로 반란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왕상의 판단이 옳았던 것입니다

이처럼 흔들리지 않고 자기 소신을 끝까지 지킨 왕상의 모습에서 유래한 말이 바로 불요불굴(不撓不屈) 즉 휘지 않고 굽히지 않는 마음입니다


실생활 속 불요불굴 사용 예문

상황예문
학교에서“지민이는 수학이 어려워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불요불굴의 친구야.”
운동 경기에서“우리 팀은 패배 위기에서도 불요불굴의 정신으로 끝까지 싸워 이겼다.”
친구 응원할 때“시험 전에 힘들겠지만, 불요불굴의 마음으로 꼭 끝까지 버텨봐!”


비슷한 표현

● 백절불요(百折不撓):
백 번 꺾여도 흔들리지 않다는 뜻으로, 반복된 실패에도 절대 굽히지 않는 의지를 말합니다


● 칠전팔기(七顚八起):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째 일어난다는 뜻으로, 실패 후에도 다시 일어서는 정신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