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치액완(切齒扼腕)은 몹시 분하거나 억울할 때, 이를 갈고 팔뚝을 움켜쥐는 심정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절치액완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절치액완 한자, 뜻
- 切 (절) : 끊을 절
- 齒 (치) : 이 치
- 扼 (액) : 움켜쥘 액
- 腕 (완) : 팔뚝 완
절치액완 유래
번오기는 진나라에서 도망쳐 연나라에 의탁했지만, 연나라 왕은 그를 믿지 못해 그를 진나라로 돌려보내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를 눈치챈 번오기는 끝내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그의 행동은 연나라 백성들에게 큰 감동을 줬고, 이때의 분노와 억울함, 그리고 이를 참고 견디는 자세를 표현한 것이 바로 절치액완이라는 말로 전해졌습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분노보다도, 억울함과 자책, 그리고 감정을 억누르는 태도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절치액완 사용 예시
중요한 시험에서 한 문제 차이로 떨어졌을 때
-
오랜 시간 준비한 일이 허무하게 무산되었을 때
-
누군가의 배신으로 큰 피해를 입고도 아무 말도 할 수 없을 때
이처럼 마음속에 분노가 가득하지만 겉으로는 참는 상황, 또는 이미 지나간 일을 두고 두고 후회할 때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절치액완과 비슷한 말
절치액완과 함께 자주 쓰이는 비슷한 사자성어도 함께 알아두면 좋습니다
-
절치부심(切齒腐心) :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깊은 분노와 끈질긴 복수심을 뜻합니다
교아절치(咬牙切齒): 이를 악물고 분노를 삭인다는 의미
-
비분강개(悲憤慷慨): 비통하고 분한 감정을 참지 못하는 모습
절치액완은 이들 중에서도 감정을 꾹 참고 있는 태도에 가까운 표현입니다
절치액완 예문으로 이해하기
정리하면...
● 절치액완 뜻: 이를 갈고 팔뚝을 움켜쥔다는 의미, 깊은 분노와 억울함을 내포
● 한자 풀이: 절(이를 갈다), 치(이), 액(움켜쥐다), 완(팔뚝)
● 유래: 중국 전국시대 번오기 장군의 이야기에서 비롯
● 활용: 억울하고 참기 어려운 분노를 표현할 때
● 유사어: 절치부심, 교아절치, 비분강개 등
이처럼 절치액완은 한자 하나하나에 담긴 감정과 역사적 배경이 어우러진 표현으로,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묵직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말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