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치부심(切齒腐心)은 이를 물고 마음이 썩을 정도로 속상하다는 뜻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절치부심 한자, 뜻, 유래 예문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절치부심 한자, 뜻
- 切 (절): 끊을 절
- 齒 (치): 이 치
- 腐 (부): 썩을 부
- 心 (심): 마음 심
절치부심 유래
절치부심의 표현은 중국 한나라 시대, 사마천이 쓴 『사기』 ‘자객열전’에서 나왔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연나라 태자 단(**과 번오기, 형가예요
태자 단은 진나라에 있었다가 망명해요.
-
번오기는 진나라 장군이었지만, 반역 혐의로 연나라에 숨어들었어요.
-
형가는 단(丹)을 위해 진시황 암살 임무를 수행하기로 해요.
-
그런데 형가가 번오기를 살해한 뒤 진나라로 데려가려 했는데,
번오기가 말했어요:“이는 내가 밤낮으로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이고 벼르던 것이다.”
→ 여기서 “切齒腐心”이라는 말을 직접 사용한 거예요 -
결국 형가는 이 임무를 수행하려다 실패하고 죽어요.
즉, ‘절치부심’이라는 표현은 이 장면에서 비롯된 말이에요
절치부심과 비슷한 한자 성어
절치부심과 비슷하게 고통이나 복수심을 담은 다른 표현들도 있습니다
-
절치액완(切齒扼腕)
→ 이를 갈면서 ‘팔목을 붙잡다’라는 뜻으로,
→ “슬프고 화가 나서 몸이 떨린다”는 느낌이에요 -
와신상담(臥薪嘗膽)
→ ‘땅콩나무 위에서 자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괴롭고 힘든 일을 참고 계속 견뎌 복수하려 한다”는 표현이에요.
와신상담도 사마천 ‘사기’에 나오는 유명한 일화 중 하나입니다
절치부심 이렇게 예문으로 써보아요
● 시험에서 떨어져 절치부심하며 더 열심히 공부했어요
● 친구에게 실망해서 절치부심한 마음으로 사과했어요
● 운동 시합에서 져서 절치부심하며 팀원과 같이 연습했어요
● 미술 대회에서 상을 놓쳐 절치부심하며 그림을 다시 그렸어요
● 춤대회 예선 탈락한 친구가 절치부심하며 밤마다 연습했어요
요약하면...
● 절치부심(切齒腐心)은 “이를 물고 마음이 썩을 정도로 속상하다”는 뜻입니다
● 중국 ‘사기’ 자객열전의 번오기 대사에서 처음 쓰였습니다
● 절치액완, 와신상담 등의 비슷한 표현도 함께 쓰이면 더 풍부한 느낌이 생깁니다
● 예문을 통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는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