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정신성(昏定晨省)은 저녁에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 안부를 여쭙는 효도의 실천을 뜻합니다 이번시간에는 혼정신성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혼정신성 한자, 뜻
- 昏 (혼): 어두울 혼 (저녁, 날이 저물다)
- 定 (정): 정할 정 (잠자리를 정해드리다, 보살피다)
- 晨 (신): 새벽 신 (이른 아침)
- 省 (성): 살필 성 (안부를 살피다, 문안을 드리다)
혼정신성 유래
혼정신성(昏定晨省)은 중국 고대 유학 경전인 『예기(禮記, Lǐjì)』에서 비롯된 한자성어입니다
『예기』는 주나라 시대의 생활 예절과 인간의 도리를 기록한 책으로, 지금으로 치면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담은 예절 교과서 같은 책입니다
그중에서도 곡례편(曲禮篇)이라는 부분에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를 설명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바로 이 구절에서 혼정(昏定)과 신성(晨省)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혼정(昏定)의 뜻과 배경
혼(昏)은 해가 져서 어두워지는 저녁을 뜻하고, 정(定)은 편히 쉬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혼정은 저녁에 부모님이 주무시기 전에 편히 주무시도록 잠자리를 살피는 행동을 말합니다
옛날에는 지금처럼 전기가 없었기 때문에 밤이 되면 등잔불을 켜고, 자식이 직접 부모의 이불을 펴고 자리를 정돈해드렸습니다
이불이 차갑지 않게 손으로 덮어드리고, 혹시 바람이 드는 곳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모두 혼정의 한 모습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발이 아니라, “부모님이 오늘 하루 피곤하지 않으셨을까?”, “편히 주무셔야 내일도 건강하시겠지” 하는 자식의 세심한 마음이 담긴 행동이었습니다
신성(晨省)의 뜻과 배경
신(晨)은 새벽, 아침을 뜻하고, 성(省)은 살피고 점검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신성은 아침에 일어나 부모님께 문안드리고 안부를 살피는 일을 말합니다
옛날에는 가족이 함께 살았기 때문에 자식이 아침에 일어나면 부모님의 방으로 가 안녕히 주무셨어요? 하고 여쭙고,혹시 밤새 불편하신 점은 없었는지 살피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상이었습니다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기침을 하시거나, 얼굴빛이 좋지 않으면 그날의 일과를 조정하고 약이나 차를 준비하는 일도 자식의 몫이었습니다
혼정과 신성이 합쳐져 혼정신성이 되다
『예기』의 여러 예절 중에서 부모를 섬기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이 바로 저녁에는 편히 주무시게 하고, 아침에는 건강을 살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후대 학자들은 이 두 가지를 묶어서 혼정신성(昏定晨省)이라는 사자성어로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이 말은 단순히 예절의 형식이 아니라, 효(孝)의 마음을 하루의 시작과 끝으로 실천하라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즉, 효도는 특별한 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 저녁과 아침처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드러나는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혼정신성의 고사(故事) — 효자 왕연(王延)의 이야기
혼정신성의 의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왕연(王延)입니다
그는 중국 동진(東晉) 시대의 효자였는데, 부모님을 극진히 모신 일화가 『효자전(孝子傳)』 등에 전해집니다
왕연은 여름에는 부모님이 더워서 잘 주무시지 못할까 봐
밤마다 부채로 바람을 일으켜 시원하게 해드렸고, 겨울에는 이불이 차가울까 봐 자신의 몸으로 먼저 덮어 따뜻하게 만든 뒤 부모님께 드렸다고 합니다
이런 행동이 바로 혼정신성의 정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로 꼽힙니다
그에게 효도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저녁의 이불 한 장, 아침의 안부 한마디로 표현되는 세심한 마음이었습니다
비슷한 표현
[함께 보면 좋은 정보]
%20%ED%95%9C%EC%9E%90,%20%EB%9C%BB,%20%EC%9C%A0%EB%9E%98%20-%20%EC%A0%80%EB%85%81%EA%B3%BC%20%EC%95%84%EC%B9%A8%EC%9C%BC%EB%A1%9C%20%EC%A0%84%ED%95%98%EB%8A%94%20%ED%9A%A8%EB%8F%84%EC%9D%98%20%EB%A7%88%EC%9D%8C%20%EC%8D%B8%EB%84%A4%EC%9D%BC.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