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비비 한자, 뜻, 유래

 시시비비는 옳은 것은 옳다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분명히 판단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시시비비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시시비비 한자

시시비비는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是 (시) : 옳다비 – 바르거나 맞다는 의미입니다
  • 非 (비) : 그르다비 – 틀리거나 잘못되었다는 뜻입니다

是是非非는 옳은 건 옳다, 틀린 건 틀리다고 분명히 말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시시비비 유래와 철학적 배경

시시비비는 고대 중국 철학서『순자(荀子)의 수신(修身) 편에서 유래한 개념입니다

是是非非 謂之知 (시시비비 위지지)
옳은 건 옳다, 틀린 건 틀리다고 할 줄 아는 것이 지혜다


또한 『맹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非是是非, 不可以為人也
(그르다를 옳다 하고, 옳다를 그르다 하는 사람은 사람이라 할 수 없다)


즉, 시시비비는 인간이라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판단 기준으로 여겨졌습니다


일상 속 시시비비의 의미

✅ 정리하면 이렇게 이해할 수 있어요
표현 의미 사용 예시
옳다비(是) 맞고 바른 것 규칙을 잘 지켰을 때 “그건 옳다비야!”
그르다비(非) 틀리고 잘못된 것 남의 물건을 함부로 썼다면 “그건 그르다비야!”
시시비비는 이렇게 행동이나 상황을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말입니다


왜 시시비비 중요할까?

● 정확한 판단력을 키워줍니다

● 공정한 태도로 사람을 대할 수 있습니다

● 책임감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요즘같이 정보가 넘쳐나느 시대에는 사실과 감정, 소문과 진실을 구분하려는 태도가 꼭 필요합니다 그 핵심이 바로 시시비비입니다

※ 시시비비는 단순한 사자성어가 아니라 삶의 중심을 잡아주는 판단 기준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인과응보 한자, 뜻, 유래

📌 자작자수 한자, 뜻, 유래

📌 자초지종 한자, 뜻, 유래 

📌 자업자득 한자, 뜻, 유래

📌 자승자박 한자, 뜻, 유래


시시비비 한자, 뜻, 유래 썸네일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