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 감당한다는 말, 자작자수(自作自受)의 깊은 의미와 유래 한자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자작자수 한자
자작자수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自(스스로 자)
- 作(지을 작)
- 自(스스로 자)
- 受(받을 수)
자작자수는 스스로 지은 일을 스스로 받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자신이 한 행동이나 말의 결과를 고스란히 자기 자신이 감당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자작자수 뜻
자작자수는는 자업자득과 비슷한 의미입니다, 하지만 늬앙스에서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 자작자수는 말 그대로 내가 만든 것을 내가 받는다는 구조적 의미에 초점이 있습니다
● 흔히 책임감, 자기 결과 수용, 원인과 결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자작자수 유래
자작자수는 불교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불교에서는 인간이 짓는 모든 업(業) — 즉 말과 행동, 생각 하나하나가 결국에는 자신에게 돌아온다고 봅니다
이 개념은 불교의 인과응보(因果應報) 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원인을 내가 만들었으니, 그 결과도 내가 받는다”는 자연스러운 삶의 이치입니다
불경이나 선사들의 어록에서 자주 등장했고, 현재는 일상적인 속담처럼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작자수 예시
상황 | 자작자수 적용 예시 |
---|---|
직장 | 무례하게 굴던 상사가 팀원들의 외면을 받게 되었을 때 |
학교 | 공부를 게을리한 학생이 시험에서 낙제했을 때 |
인간관계 | 거짓말을 자주 하던 사람이 신뢰를 잃었을 때 |
즉 누군가에게 억울하게 당한 경우가 아니라 자기 행동의 결과를 자기가 겪는 경우에 쓰는 표현입니다
자작자수와 비슷한말
● 자업자득(自業自得):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신이 받는다
● 자승자박(自繩自縛): 자신이 한 말이나 행동 때문에 스스로 곤란에 처하게 되는 것
● 인과응보(因果應報): 선한 원인은 선한 결과, 악한 원인은 악한 결과를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