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는 누구를 형이라, 누구를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대등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난위형난위제 한자, 뜻, 유래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난위형난위제 한자, 뜻
- 難 (어려울 난): 어렵다, 힘들다
- 爲 (할 위): 하다, 되다
- 兄 (맏 형): 형
- 弟 (아우 제): 아우
난위형난위제 유래
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는 “형이라 하기도,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중국 고전 세설신어(世說新語)의 덕행 편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세설신어는 후한 말에서 서진 초기 인물들의 언행과 덕행을 기록한 책입니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진식(陳寔, 자 太丘)라는 후한 명사와 그의 두 아들, 그리고 손자들이야. 진식의 아들 진기(陳紀, 자 元方)와 진심(陳諶, 자 季方)은 모두 덕과 학문이 뛰어났고, 손자 세대가 자기 아버지가 더 뛰어나다고 주장하면서 누가 더 낫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겼습니다
손자들은 결국 조부 진식에게 물었고, 진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元方難爲兄, 季方難爲弟”
(원방을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계방을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
즉, 두 아버지는 모두 뛰어나서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누가 더 나은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이 말이 바로 난위형난위제의 유래입니다 이후 말이 줄어 난형난제(難兄難弟)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의미는 동일하지만, 일상에서 말하기 편하고 기사나 글에서 더 자연스럽게 쓰이기 때문에 이렇게 줄이게 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오늘날에도, 두 대상의 실력이나 성과가 거의 같아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두 스포츠 팀이 전력이 비슷할 때, 혹은 두 안건의 장단점이 뚜렷하여 어느 쪽이 더 낫다고 판단하기 어려울 때, 난위형난위제 또는 난형난제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난위형난위제는 두 사람이 너무 비슷해서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다라는 뜻으로, 후한 시대 세설신어의 일화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입니다
비슷한 표현
● 백중지세(伯仲之勢): 힘이 엇비슷하여 승패를 가늠하기 어려움
● 막상막하(莫上莫下): 위아래를 가릴 수 없음
● 호각지세(互角之勢): 서로 각(角)이 맞아 실력이 대등함
● 춘란추국(春蘭秋菊): 각자 장점이 달라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