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굴불요(不屈不撓)는 어떤 고난 앞에서도 굽히지 않고 휘지 않는 강한 정신력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불굴불요 한자, 뜻, 유래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불굴불요 한자, 뜻
불굴불요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不 (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
- 屈 (굽힐 굴): 굽히다, 굴복하다
- 不 (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
- 撓 (휘어질 요): 휘어지다, 꺾이다
불요불굴을 해석하면 굴복하지도 않고 휘어지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역경에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정신력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불굴불요와 불요불굴의 차이
구분 | 불굴불요(不屈不撓) | 불요불굴(不撓不屈) |
---|---|---|
순서 | 굽히지 않음 → 휘지 않음 | 휘지 않음 → 굽히지 않음 |
강조 | 내면의 결단력과 인내 | 외부의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음 |
사용국 | 주로 한국에서 사용 | 중국 고사에서 많이 사용 |
느낌 | 중심을 지키며 버티는 힘 | 외압에 저항하며 일어서는 힘 |
불요불굴 유래
불굴불요는 특정한 한 사람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고, 중국 유학 고전과 병법서, 후한서, 논어 등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특히 한무제 시절, 학문이나 정치, 전쟁에서 정신력과 단단한 인내심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었고, 이 말은 점차 지도자나 지식인의 이상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덕목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불굴(不屈): 절대 굽히지 않는다는 의지는 전쟁터, 재판, 정치적인 신념 등에서 핵심적인 가치로 여겨졌고
불요(不撓): ‘흔들리지 않고 휘지 않는다’는 뜻은 특히 교육자, 선비, 학자에게 요구되는 품성으로 간주됐습니다
그래서 이 두 표현을 함께 써서, 강한 신념과 중심을 잃지 않는 태도를 이상적인 인격의 상징처럼 여겨졌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사자성어 | 뜻 | 차이점 |
---|---|---|
불굴불요(不屈不撓) | 굽히지도 휘지도 않음 | 내부 의지 중심, 인내 강조 |
불요불굴(不撓不屈) | 휘지도 굽히지도 않음 | 외부 압박에 대한 저항 중심 |
백절불굴(百折不屈) | 수없이 꺾여도 굽히지 않음 | 반복적인 시련 강조 |
견마지로(犬馬之勞) | 개나 말처럼 충성을 다함 | 충성된 노력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