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이몽 한자 뜻과 유래 완벽 정리 – 함께 있어도 다른 마음을 담은 사자성어

 동상이몽(同床異夢)은 같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속마음은 다른 상황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한자의 구성, 정확한 의미, 역사적 유래와 실제 생활 속 활용 사례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동상이몽 한자, 뜻

동상이몽은 한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 同(같을 동): 같다, 한 가지다
  • 床(평상 상): 평상, 침상, 잠자리
  • 異(다를 이): 다르다
  • 夢(꿈 몽): 꿈
동상이몽을 해석하면 같은 침상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하나지만 실제 속마음이나 목적은 각기 다르다는 뜻입니다


동상이몽 유래

동상이몽이라는 말은 중국 남송(南宋) 시대 학자 진량(陳亮)이 사용한 문장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정치와 외교 관계는 복잡했고, 사람들은 협력하는 듯 보이면서도 속으로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추구했습니다

진량은 이런 상황을 비유해 겉으로는 함께 자리에 있지만 속마음은 전혀 다르다는 표현을 사용했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동상이몽은 단순히 개인 간의 관계뿐 아니라 국가나 조직의 이해관계에도 두루 쓰여 왔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동상각몽(同床各夢) : 같은 잠자리에서 각자 다른 꿈을 꾼다 동상이몽과 거의 같은 의미입니다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로는 따르지만 속으로는 배반한다는 뜻으로, 동상이몽보다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집니다

● 표리부동(表裏不同) :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으로, 사람의 이중적인 태도를 지적할 때 쓰입니다


활용 예문

● “겉으로는 협력하는 것 같지만 속마음은 달라, 완전히 동상이몽이야.”

● “두 회사가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목표는 달라 동상이몽 상황이다.”

●  “친구들과 여행을 가기로 했는데 한 명은 휴식이 목적이고, 다른 한 명은 쇼핑이 목적이라 완전히 동상이몽이었다.”

이처럼 구체적인 맥락에서 사용하면 뜻이 분명해지고 이해하기도 쉽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수수방관 한자, 뜻, 유래

📌난위형난위제 한자, 뜻, 유래

📌호각지세 한자, 뜻, 유래

📌백중지세 한자, 뜻, 유래

📌금상첨화 한자, 뜻, 유래


동상이몽 한자 뜻과 유래 완벽 정리 – 함께 있어도 다른 마음을 담은 사자성어 썸네일


다음 이전